본문 바로가기

Audio life

(32)
Hi-fi in Home, 좋다는 평가는 이유가 있다. 오디오에 대한 글을 오랜만에 올리게 되었다. 거치형 Hi-fi는 8년 반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 스피커 Triangle Stratos Solis --> ATC SCM35 (큰? 북쉘프 --> 톨보이) 앰프 MBL 7006 --> Naim NAC 32.5 +SNAPS + NAP 160 (인티앰프 --> 분리형) DAC Audiolab 8200CD --> Naim DAC 스피커 케이블 Naim NAC A5 턴테이블 Sony PS-HX500 (LP는 손 안데려고 했는데..) 처음 바꿨던 것은 앰프였다. 우연히 Naim set를 보게 되었고 경기도까지 가서 가져왔다. 평소 좋은 조합이라는 NAC 32.5 + SNAPS(전원부) + NAP 160 set였고, NAP160의 경우 당시 Hum이 있었으나 전원 공급..
미묘한 차이라는 것, DT990 32ohm + Vivo MK2 - 헤드폰까지 손길이 닿다... Beyerdynamic DT990 32ohm new version 미묘(微妙) 작을 미, 묘할 미 뚜렷하지 않고 야릇하고 묘하다. Delicate, subtle 국어 사전 등에 나온 '미묘'라는 말의 뜻이다. 오디오만큼 이런 단어가 어울리는 단어가 있을까. 일터에서 본인의 공간이 생길 것 같다라는 말도 안되는 핑계로 헤드폰을 구했다. 그것도 오픈형에 레퍼런스 급으로.. 최종적으로 AKG K701, K702, Audio-technica AD1000prm, ESW10, W1000, Beyerdynamic DT770, 880, 990, Grado RS-1, GS1000중에 고민하다가 헤드폰 앰프를 들고 다닐 수 있는 노릇도 아니고, 일단 들고 다니는 노트북에 직결 예정이라 저항..
Highest Line은 역시 다르다. (Triangle Stratos Solis 스피커) - Triangle Stratos Solis 스피커: Triangle Bookshelf 중에서는 Highest line 최근 음악 청취를 위해 방에 있던 system을 모두 밖으로 옮겼다. 다인 오디언스 72는 스케일이 크고 꽤 괜찮은 소리를 내어주지만 피아노에서만큼은 먹먹한 소리가 나오는 것이 맘에 안 들었다. 앰프를 바꾸면 다른 소리를 내어줄 수도 있다는 얘기에, System 전체를 팔려고 내놓아도 오디오질을 하면서 본인의 기기도 중급 이상의 기기가 되면서 판매도 쉽지 않았다. 그러던 와중에 본 Triangle solis, 음압이 91dB로 상당히 울리기 쉽고, 무엇보다 Triangle의 최상급기였다. 하지만 며칠 고민한 사이에 장터에 법칙상 이미 다른 사람에게 예약이 되어 있었고, 그냥 불발시 연락..
여러 스피커를 쓰는 이유? (북쉘프 --> 톨보이(Dynaudio audience 72)) - 결국 우려는 현실로...톨보이의 영입: 다인 오디언스 72 ( Dynaudio audience 72) 웹을 보다 보면 여러 스피커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왜 그런지 항상 궁금했는데 최근 위의 톨보이를 들이고 나서 약간이나마 이해가 되었다. - 얼마전 웹에서 본 일반인의 스피커 모음 (대단하다!!) 출처: http://board.wassada.com/iboard.asp?code=pic_pds&mode=view&num=42704&page=0&view=n&qtype=user_name&qtext=%B1%E8%C3%A2%BC%AE&part=av 스피커는 많아야 2조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었고 (거실용이나 음감실 main 1조, 책상이나 사무실 1조) 한 system에 여러 스피커가 ..
혼란스러운 Audio (ATC SCM 7 & Triangle titus 202) - Sub-system의 완성: 꽤 듣기 좋다. #1 오디오를 시작하면서 계획했던 첫 번째 스피커는 원래 프랑스 Triangle 社의 Titus 202였다. 본인이 B&O A8이나 ER4p같은 이어폰의 밝은 성향을 좋아한다고 했을 때 옆의 박씨가 추천해 주었던 스피커였다. 하지만 문제는 신품은 존재하질 않고 후속작으로 Titus ES나 comete 등이 보였으나 당시 입문기로서는 너무 비싼 가격이었다.(titus 202 중고가에 비해) 그러는 도중 최근 titus 202 상태 좋은 것을 발견하자마자 택배로 덜컥 받아버렸다. 꽤 컸다. ATC SCM 7에 비하면 꽤 큰 스피커였다. 사실 더 작을 거라고 예상했었는데.. 점퍼핀도 없어서 그냥 굴러다니는 막선(단선)을 본인이 작업해서 점퍼선을 연결하고, 스탠드..
Audiolab 8200CD, Digital tech.는 변한다. - 최근 출시된 Audiolab 8200CD, DAC + CDP 오디오질을 하면서 최근 깨달은 점이 있다. 일단 결론부터 말하면 '아날로그는 명품이 존재하지만, Digital 제품은 기술이 발달할 수록 좋은 소리가 가능하다.' 오디오에 있어서 아날로그로 구분되는 것은 본인의 기기를 따져보면, - 아날로그: 스피커, 앰프, 인터선, 스피커 케이블, 파워 - 디지털: DAC, 디지털 케이블, CDP(?) 하나하나 살펴보면, 1. 스피커 내가 쓰는 것은 ATC SCM 7 그래도 북쉘프로는 High-end라 부를 수 있다.(있나?) 소리 좋다. 가볍지 않고, 중역 & 저역대가 두툼하고 뭔가 가오가 있는 소리를 들려준다. 2. 앰프 예전 블로그 글에도 썼지만 인티앰프는 여러가지를 소유해봤고, 들어봤다. MBL이라..
BasicLine to the High-End (MBL 7006 integrated amp) - High End Audio로의 첫걸음. MBL이라는 회사의 BasicLine amp 모든 것을 정리하고 간소화 시켰다. 어짜피 CD야 노트북으로 들으면 되고, 오디오랙 또한 답답하게 쌓고 있는 것이 싫어서 간단하게 정리했다. 인티앰프, DAC, Macbook Pro 간단 명료하게 되었지만 어쨌든 CDP에 대한 미련은 어느정도 남는다. High End라 할 수 있는 회사가 몇 개 있다. 마크레빈슨, 제프롤랜드, MBL, 매킨토시, Goldmund, Krell 등 사실 Krell은 High End라 할 수 없는 것들이 좀 있지만 파워앰프만큼은 High End라 불러주고 싶다. 위에 열거한 회사에서 나오는 인티앰프는 각 회사마다 1~2개 정도가 전부다. 그만큼 분리형에 치중하고 있다는 얘기도 될 듯 하다...
Hi-Fi audio system - 최근 완료된 Hi-Fi system, 어설프지만 나름 고생했다. Hi-Fi system이라고 언급할 수 있는 system이 최근 완료되었다. 사실 인티앰프의 끝까지 가고자 노력했으나 ATC SCM 7을 울리기에는 NAD S300 amp도 충분하다는 판단이 들었다. 사실 용산이나 테크노마트 등을 돌아다니면서 청음했던 경험들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선들이 많이 지저분하지만 그나마 감춘 선들이다. ㅜㅜ 마지막 setting을 하면서 stand를 사용할지 많은 고민을 했는데 역시 사용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책상을 통해 전해지던 진동(사실 책상 밑으로 내려오는 소리들이 책상을 타고 왔었다고 생각함)이 stand를 설치 후 방 전체를 장악하고 있는 느낌이 든다. 소스 기기에 power cable을 PS a..